본문 바로가기

엑셀 속도 향상

엑셀 수식 계산 미리보기 단축키, 텍스트 나누기 (문자 나누기)

반응형

칼퇴를 위한 Excel 교실 아홉 번째 수업입니다.
이번에는 수식 작성을 할 때 미리 보기를 하는 방법과 텍스트 나누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함수나 계산 수식을 길게 작성을 하면서 미리 보기로 수식을 확인할 때 좋은 기능입니다.
한 셀에 입력되어 있는 텍스트를 여러 셀로 분리하고 싶을 때 필요한 텍스트 나누기 기능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엑셀 수식 계산 미리 보기

엑셀에서 수식을 길게 입력하다가 수식이 잘 작동할지 궁금할 때 유용한 기능입니다.
예시를 먼저 보겠습니다.
아래 수식입력창에 덧셈 수식을 입력했습니다.


여기서 원하는 부분의 계산을 미리 보기를 하고 싶을 때 어떻게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원하는 수식 계산식을 블록을 씌워줍니다.
그 상태에서 F9 버튼을 눌러주면 계산이 바로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다시 원래대로 돌리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되돌리기 단축키인 Ctrl키Z를 함께 눌러 되돌려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ESC키를 눌러서 수식창을 나가는 방법입니다.
수식창의 수정을 취소하는 버튼인 ESC키로 원상복귀가 가능합니다.

만약 F9키를 누른 상태로 미리 보기를 하고 Enter를 눌러버리면, 계산이 완료된 수식이 그대로 들어가게 됩니다.
열심히 작성한 수식이 사라지기 때문에 원래대로 되돌리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2. 텍스트 나누기 (텍스트 분리, 문자 나누기)

이번에는 또 다른 유용한 기능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텍스트가 포함된 셀을 분리(나누기)하는 방법입니다.

텍스트를 나누는 것은 아래 사진예시와 같습니다.
한 셀에 띄어쓰기로 들어가 있는 문자들을 오른쪽 사진과 같이 셀을 분리해 주는 작업입니다.


텍스트를 나누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구분 기호를 기준으로 나누는 방법원하는 너비로 자르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구분 기호를 기준으로 나누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다음으로 원하는 셀들을 선택을 합니다.
블록으로 선택한 상태에서 엑셀의 상단 메뉴에서 데이터를 누르고, 텍스트 나누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텍스트 나누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구분 기호로 분리됨 을 체크하고 다음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구분기호를 선택해 줍니다.
지금 선택한 셀들은 띄어쓰기로 글자들이 구분되어 있고,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셀을 분리하기 위해 공백을 체크하고 마침을 눌러주면 됩니다.

마침 버튼을 누르면 아래사진과 같이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글자들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분기호를 기준으로 텍스트를 나눌 때는 구분기호만 잘 선택해 주면 됩니다.

정확한 구분기호를 파악해서 제일 마지막 "기타"에 체크를 하고, 다른 체크박스는 모두 해제를 해주시면 됩니다.


쉼표로 구분되어 있으면 쉼표를 선택하고, 다른 특수기호로 분리가 되어있다면 기타를 선택하고 그 기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전화번호나 주민등록번호의 경우 하이픈으로 구분이 되어있으니, 그때는 구분기호에 하이픈을 넣어줘서 문자를 분리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은 원하는 너비로 자르는 것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구분되어 있는 기호를 기준으로 자르는 것이 아닌, 원하는 너비로 텍스트를 나누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동일하게 데이터 메뉴에서 텍스트 나누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너비가 일정함 버튼을 체크하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빨간색 화살표로 표시한 부분을 클릭해 보시면, 제일 오른쪽 사진처럼 구분선이 생기게 됩니다.
직접 만든 구분선을 드래그로 조정도 가능합니다.
선을 선택해서 미리 보기 창 밖으로 끌고 가면 추가한 구분선이 사라지게 됩니다.

이렇게 구분기호가 아닌 일정한 너비를 기준으로 텍스트를 나누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은 기능입니다.
편하고 쉽게 텍스트를 나눌 수 있지만, 글자수가 서로 다른 많은 데이터가 있을 때는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럴 때는 구분기호로 텍스트를 분리하는 것이 조금 더 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엑셀에서 알아두면 유용한 기능인, 수식 작성을 할 때 미리 보기를 하는 방법과 텍스트 나누기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