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퇴를 위한 Excel 교실 열두 번째 수업입니다.
이번에는 엑셀에서 수식이나 함수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오류들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엑셀에서 함수나 수식을 사용하다가, 아래와 같은 오류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1. #DIV/0!
2. #N/A
3. #NAME?
4. #NUM!
5. #VALUE!
6. #REF!
7. #NULL!
위 7가지 오류들에 대한 발생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DIV/0! 오류
DIV 오류부터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DIV는 Division의 약자이며 나눗셈을 의미합니다.
함수나 수식에서 나누는 값이 0이 되면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분모가 0이 되면 그 숫자는 무한대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나눗셈을 할 때 자주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DIV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숫자나 값을 0으로 나누지는 않았는지, 분모가 0이 되는 경우가 없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누는 값을 0이 아닌 숫자로 변경하면 DIV 오류는 해결이 가능합니다.
2. #N/A 오류
다음으로 N/A의 오류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해당 오류는 어떤 값을 찾는 함수를 사용할 때 자주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VLOOKUP 함수나 어떤 값을 찾기 위한 함수를 사용했을 때, 해당 값이 없을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보통 범위를 지정할 때 실수를 했거나, 실제로 찾는 값이 없을 때 자주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이 N/A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함수를 통해 찾는 값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범위를 새로 지정하거나, 찾을 값이 있는지 먼저 확인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NAME? 오류
NAME 오류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오류는 함수를 사용할 때 문자를 큰 따옴표 없이 입력하거나, 함수의 이름을 잘못 입력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NAME 오류가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사용한 함수에 오타가 없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만약 함수에 오타가 없이 정상이라면, 수식 안에서 문자값을 사용했는지 찾아봐야 합니다.
수식 안에서 따옴표 없이 문자를 입력했을 때, NAME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문자에 따옴표를 없이 사용하면 NAME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 #NUM!
다음으로 알려드릴 오류는 NUM입니다.
이 오류는 수식의 계산 값이 너무 크거나, 너무 작거나, 오류가 있는 숫자일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버전의 엑셀에서 직접 숫자를 하나씩 계산해 봤습니다.
10의 308 제곱까지는 계산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10의 309 제곱부터 해당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오류가 있는 숫자의 예시로 음의 제곱근이 있습니다.
제곱근을 구하는 함수인 SQRT에 음수를 넣어 계산하게 되면, 위와 동일한 NUM 오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NUM 오류의 해결 방법은 계산 결과 값 숫자의 크기를 확인해 보는 것과 숫자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있습니다.
5. #VALUE!
다음으로 VALUE 오류를 설명드리겠습니다.
VALUE 오류는 함수에서 계산을 할 때, 계산이 불가능한 문자를 입력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예를 들어, 덧셈이나 뺄셈을 하는데 숫자가 아닌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해당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VALUE 오류가 발생하면 계산 식에 문자가 오타로 있는지 확인을 해보면 됩니다.
셀을 선택하는 실수로도 계산식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6. #REF!
REF 오류에 대해서도 설명드리겠습니다.
함수를 사용한 수식에서 참조한 셀이 없어졌을 경우에 REF 오류가 발생합니다.
참조한 값을 그냥 백스페이스나 딜리트 버튼으로 지운 것이 아니라, 마우스 우클릭으로 삭제를 한 경우에 REF 오류가 발생합니다.
REF 오류를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함수에 사용된 참조 표를 조심하면 됩니다.
함수에 참조된 표에서 마우스 우클릭으로 삭제된 경우에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NULL!
마지막으로 NULL 오류를 설명드리겠습니다.
NULL 오류는 엑셀을 사용하면서 자주 발생하는 오류는 아닙니다.
이 오류는 함수 내에서 공백이 발생했을 때 나타나게 됩니다.
SUM 함수를 사용할 때, 쉼표가 아닌 공백으로 입력했을 경우에 NULL 오류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함수 안에서 인자들이 공백으로 연결된 경우가 있는지 찾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